Page 203 - 사회문제 탐구 교과서
P. 203

1      사회문제의 해결 방안 모색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를 명확하게 도출하
                                                                                             학습 목표

                                                                                           고 다양한 관점에서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해결해야 할 문제의 초점을 명확하게

                        탐구 과제를 수행하다 보면, 처음에 예상했던 결과를 확인하는 경우도 있고                           양적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만나기도 한다. 사회 현상에는 완벽하게 동일한

                      조건의 탐구가 존재할 수 없다. 그래서 유사한 선행 연구가 있음에도 불구하
                      고 기존의 연구와 얼마든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이는 과학의 관점에서
                      볼 때 불안정한 것으로 사회문제 탐구의 한계로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우리가 사회문제를 탐구하는 이유는 연구자들의 서로 다른 설명과 해석
                      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다양한 방식으로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자료를 수집한 뒤 분석 또는 해석하고 나면 연구를 설계할 때 품었던 의문
                                                                                           일반적으로 양적 연구의 자료 분석은 연구 설
                      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예를 들어 아르바이트 청소년의 근로 실태를                             계에 가장 부합하는 통계 처리 방법을 활용한
                                                                                           다. 따라서 사회문제를 탐구하려면 자료 분석
                      조사한다면, 설문 결과를 분석하거나 심층 면담 과정에서 근로 계약서 작성
                                                                                           결과를 다양한 그래프로 나타내보고 통계 수치
                      여부라든지, 임금 지급 문제, 근로 시간 준수에 관한 사실 등을 확인할 수 있                          를 비교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
                      다. 확인 결과 청소년의 노동권을 침해하는 핵심적인 요인이 잦은 초과 근무                            는 연습이 필요하다.

                      로 밝혀졌다면 근로 시간에 초점을 둔 해결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 다른 예로 청소년의 가출 원인에 대한 조사 연구에서 가난한 가정 환경
                      이 가출의 가장 큰 원인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분석 결과 가출 청소년의 경제

                      적 배경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신 부모님과의 대화 결핍이 가
                      출의 가장 큰 원인으로 밝혀질 수 있다. 그렇다면 해결 방안은 가족들 간의
                      대화를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교실 밖 세상 읽기
                                               성별 격차에 대한 사회적 통념과 편견                                       이해하기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수학을 못한다.”, “남자는 수학을, 여자는 언어를 잘한다.” 기성 세대는 물론 학생 사이에서도 꽤
                         퍼져 있는 성별 격차에 대한 통념이다. 하지만 이런 통념과 상반된 결론의 연구가 많다. 최근에는 선천적인 요인보다 환경

                         요인, 태도 요인이 학업 성취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서강대 경제학부 연구진은 지난 5월, 「수학 성취도에서의 성별 격차, 동태적 변화와 원인 분석」이란 논문을 발표했다.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자료를 통해 2009~2011년 초등 6학년이었던 5만 5,604명의 수학 성적을 비교했다. 연구진에 따
                         르면 초·중·고 모두 남학생의 수학 점수가 여학생보다 높았다. 하지만 환경 요인을 제거하면 성별 격차가 줄어들거나
                         무의미해졌다. 연구진에 따르면 사교육 시간에 따른 차이를 배제하자 중학교 수학의 남녀 격차는 60% 가량 감소하였고,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 이상일 때는 남녀 격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수학에 대한 흥미도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떨어
                         진다는 점도 성취도에 영향을 미쳤다. 수학의 성별 격차는 생물학적 차이 때문이 아니라 가정·학교 등 후천적인 환경 요
                         인이란 사실을 알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중앙일보』, 2019. 12. 8.




                                                                                          3. 사회문제의 해결 방안은 어떻게 찾을까?  |  201







          사회탐구심의본.indb   201                                                                                        2021-07-02   오전 9:08:41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