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사회문제 탐구 교과서
P. 23

1      탐구의 과학적 방법과 절차                                               과학적 방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양적 및
                                                                                             학습 목표

                                                                                           질적 연구 방법의 절차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림으로 보는 세상

                                                                                         르네상스 시대 화가들의 주요 관심사 가운데
                                                                                         하나는 사물을 보다 사실적이고 정확하게 묘사
                                                                                         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화가들은 빛의 원리
                                                                                         를 적용한 ‘옵스큐라’라는 장치를 사용했다. 이
                                                                                         는 그림에 과학적 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작은
                                                                                         구멍을 통해 투영된 상을 따라 사물을 그리면
                                                                                         보다 정확한 묘사가 가능하였다.
                                                                                         ◀ 옵스큐라 ‘어두운 방’이라는 뜻으로, 상자 등
                                                                                         에 작은 구멍을 뚫어 빛을 투과시키면 반대쪽 벽
                                                                                         에 외부 물체의 상을 거꾸로 투영해 주는 장치다.



                      과학적 탐구 방법

                        사회문제의 현상과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사회문제를 탐구하는 과학적 방법이 필요하다. 과학적 방법이란 경험적 자료
                      에 의해 현상을 밝히는 절차를 말하며, 이를 통해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적 지

                      식을 생산할 수 있다. 개인의 상상이나 신념, 상식 등으로는 사회문제를 제대
                      로 파악할 수 없다.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신뢰할 만하고 타당한 과학적 지
                      식을 생산함으로써 사회문제에 대한 이해와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다.

                        과학적 탐구 방법의 핵심 원리는 객관성이다. 객관성이란 연구자의 주관이
                      나 편견이 연구 과정에 개입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사회문제 탐                            ▲ 콩트(Auguste Comte, 1798~1857)
                                                                                           콩트는 인간 사회를 과학적으로 탐구할 수 있다
                      구의 과정에서 객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관점의 다양성과                            고 주장한 대표적인 계몽주의 학자이다. 그는 인
                      자신의 오류 가능성을 인정하는 개방적 태도, 시대와 사회 환경의 맥락에서                             간 행동을 포함한 사회 현상에 관한 지식은 오
                                                                                           로지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서만 얻
                      연구 대상에 접근하는 상대주의적 태도를 지녀야 한다.                                        을 수 있다고 믿었다.




                          교실 밖 세상 읽기
                                               여러 사람의 주관 속에 합의된 객관성, ‘간주관성’                               이해하기

                           우리는 일상에서 관찰한 것이 무엇인가를 설명할 때 사람마다 다르게 이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을 가다
                         발견한 돌을 보고 누군가는 그냥 ‘돌이다’라고 하겠지만, 누군가는 ‘자갈이다’라고 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돌멩이다’ 라고
                         말할 수 있다. 모두 동일한 대상을 관찰하고 서로 다르게 지칭하지만, 이들의 인식은 기본적으로 ‘돌’이라는 인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즉 사람들의 주관적 의견에도 어느 정도 유사성이 들어 있다. 이처럼 각자가 가진 주관 안에 엿보이는
                         유사한 측면, 즉 여러 사람의 주관 속에 ‘공유’되는 객관성이 있는데, 이것을 간주관성(intersubjectivity)이라고 한다. 연
                         구자는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간주관성만 확보해도 주관성을 배제하기 위해 노력한 것
                         으로 이해받을 수 있다.                                                    –자료: 구정화, 『청소년을 위한 사회학 에세이』




                                                                                              2. 사회문제를 어떻게 탐구할 것인가?  |  21







          사회탐구심의본.indb   21                                                                                         2021-07-02   오전 9:07:00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