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사회문제 탐구 교과서
P. 16

사회문제의 특징

                     첫째, 사회문제는 역사성을 가진다. 시대에 따라 사회문제의 정의가 달라
                    진다. 즉 과거의 주요한 사회문제가 현재는 더 이상 사회문제가 아닐 수 있

                    고,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사회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예컨대
                    1970년대 우리나라에서 장발은 퇴폐풍조로 간주되어 큰 사회문제였으나 지
                    금은 사회문제가 아니다. 또한 공장 매연과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 오염은 산

                    업화 이후 나타난 새로운 사회문제이다.
                     둘째, 사회문제는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 사회문제는 모든 사회에 공통으

                    로 나타나는 인간 생활의 한 측면이다. 즉 모든 사회는 구성원들의 삶과 죽
                                                                                        ▲ 대기 오염
                    음, 욕망과 좌절, 범죄와 전쟁 등을 경험하면서 이에 대처하는 방식을 발전시
                                                                                        공장 굴뚝의 검은 연기는 산업화 초기 사회에서
                    킨다. 사람들은 이 과정에서 사회문제의 일부분이 되기도 하고 벗어나기도 한                           경제 발전의 상징처럼 여겨졌다.

                    다. 요컨대 사회문제는 어느 사회에서나 발생한다.
                     셋째, 사회문제는 상대성을 가지고 있다. 한 사회의 가치관은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기준이 된다. 따라서 지역, 국가, 문화에 따라 가치 판단
                    의 기준과 이에 따른 사회문제의 대처 방식이 달라진다. 예컨대 저출산·고령
                    화에 따른 문제는 상대적으로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유럽에서는 심각하게 인

                    식되지만 대다수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아니다.




                        교실 밖 세상 읽기
                                            우리 사회의 새로운 사회문제                                             이해하기

                         오늘날 우리 사회에 새롭게 떠오른 사회문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보편적 규범과 사회 구성원의 삶이 괴리될 때 사회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오늘날 경제·사회·환경 측면에서 균형 발전
                       이 실현되지 않아 이상과 현실 간의 괴리가 클 때 사회문제의 주요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경제적 혜택이 누구에게나 공
                       평하게 분배되는가, 개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있는가, 생태계가 계속 유지될 수 있는가?’ 등의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한국의 새로운 사회문제를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위험, 환경 파괴’로 정의하고 다양한 사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자료: 장용석 외, 『한국 사회문제 지도』

                          대분류           중분류                                 세부 사회문제 예시
                                     소득 및 주거 불안    경제적 취약 계층 증가, 소득 양극화 심화, 전셋값 폭등 등
                          경제적         노동 불안정       비정규직 증가, 청년 일자리 부족, 최저 임금 문제, 많은 근로 시간 등
                          불평등
                                      교육 불평등       학벌 지상주의, 일관성 없는 정부의 교육 정책, 기초 학문 기피 등
                                      삶의 질 저하      정서 불안 및 자살 증가, 감정 노동의 부작용 등

                          사회적        사회 구조 변화      출산율 저하, 고령화 심화, 1인 가구 증가, 이혼율 증가 등
                           위험        사회 통합 저해      다문화 가정 및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 세대·이념·지역 갈등 등
                                       안전 위협       전염병 및 신종 질환 확산, 사이버 범죄 및 성범죄 증가 등
                           환경          환경 오염       온실가스 증가, 미세 먼지 증가, 생물 다양성 감소, 환경 호르몬 노출 등
                           파괴          자원 고갈       석유·가스 등 지하자원 감소, 물 부족, 전력 수급 불안정, 식량 부족 등





               14  |   Ⅰ. 사회문제의 이해






          1단원_new_1차.indd   14                                                                                      2021-07-29   오후 2:26:23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