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4 -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
P. 124

➌ 이차함수의 미분계수의 뜻

            ▶ 기호 f'(a)는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점 P(t, f(t))에서 접하는 접선의 기울기를 이차함
              ‘f prime a’라고 읽는다.
                                 수 y=f(x)의 x=t에서의 미분계수라 하고 기호로 f'(t)와 같이 나타낸다.

                                 [보기]   이차함수 f(x)=(x-2)^2+1의 그래프 위에 x 좌표가 각각 0,           y      f(x)=(x-2)Û`+1
                                                                                            A
            ▶  f'(0)<f'(1)<0,           1, 2, 3, 4인 점 A, B, C, D, E에서 그은 접선이 그림과 같다.      5               E
               f'(2)=0,
                                        미분계수 f'(0), f'(1), f'(2), f'(3), f'(4)는 각각 다섯 개의 점
               0<f'(3)<f'(4)
                                        A, B, C, D, E를 접점으로 하는 접선의 기울기를 의미하므로             2    B
                                                                                                  C   D
            ▶  꼭짓점 C에서 이차함수             f'(0)<f'(1)<f'(2)<f'(3)<f'(4) 임을 알 수 있다.          1
              는 최소가 되고, 그 점에
                                                                                          O    1  2   3  4  x
              서의 미분계수 f'(2)=0
              이다.
                                 ➍ 이차함수의 미분계수의 계산
                                                                                       f(x)=axÛ`+bx+c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f(x)=ax^2+bx+c의 그래프
                                                                                                     Q
                                 위의 서로 다른 두 점 P(t, f(t)), Q(t+h, f(t+h))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P
            ▶ 식 ➊은 직선 PQ의 기울
              기를 의미하며 ‘평균변화            f(t+h)-f(t)  =  f(t+h)-f(t)       식 ➊
              율’이라고도 한다.                 (t+h)-t           h                                     t   t+h   x
               식 ➋는 점 P에서 그은
              곡선 y=f(x)의 접선의
                                 이므로 이차함수 y=f(x)의 x=t에서의 미분계수 f'(t)는
              기울기를 의미하며 ‘순간
              변화율’이라고도 한다.
                                                      f(t+h)-f(t)
                                            f'(t)= ^h~0                  식 ➋
                                                            h
                                                       a(t+h)^2+b(t+h)+c-(at^2+bt+c)
                                                  = ^h~0
                                                                       h
            ▶  ^h~0(ah+2at+b)의                         ah^2+(2at+b)h
                                                  = ^h~0             = ^h~0(ah+2at+b)=2at+b
               극한값은 h에 0을 대입                                 h
              하면 a×0+2at+b
              =2at+b가 된다.
                                 이다. 따라서 x에 대한 이차함수 f(x)=ax^2+bx+c에 대하여 x=t에서의 미분계수는
                                 f'(t)=2at+b (단, t는 상수)이다.


                                    예제 4


                                    곡선 y=2(x-1)^2+3 위의 점 (3, 1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시오.


                                    풀이      f(x)=2(x-1)^2+3으로 놓으면   f(x)=2x^2-4x+5에서

                                           f'(t)=2×2×t+(-4)=4t-4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f'(3)=4×3-4=8                                    답   8




                                    문제 4   이차함수 f(x)=x^2-x+1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시오.


            122    Ⅳ.  최적화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