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7 - 사회문제 탐구 교과서
P. 117

1      출생과 사망의 의의                                                   출생과 사망의 사회적 의의를 설명할 수
                                                                                             학습 목표

                                                                                           있다.





                                                                                         그림으로 보는 세상

                                                                                         그림에는 천 조각이 차곡차곡 포개져 있는 가
                                                                                         운데 담담한 표정의 아기가 얼굴을 내밀고 있
                                                                                         다. 아기의 발그레한 볼에서 생명력을 느낄 수
                                                                                         있으며, 형형색색의 천 조각들은 아기 앞에 펼
                                                                                         쳐질 다채로운 일상을 떠올리게 한다.










                                                                                         ◀  구스타프 클림트, <아기(요람)>, 1917~1918.




                      출생의 의의

                        출생은 한 개인이 영위해 갈 다양한 삶의 시작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사회

                      에서 생일을 기념하는 문화가 존재하는 것은 삶의 시작을 축복하기 위함이라
                      고 할 수 있다. 개인은 출생과 동시에 개인의 의지나 노력과 상관없이 주어지
                      는 귀속 지위를 획득한다. 남자, 여자, 맏이, 막내와 같은 귀속 지위는 개인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의 바탕이 된다. 출생의 시점을 언제로 볼 것인가에 대해
                      서는 여러 주장이 있다. 우리나라 민법에서는 태아가 살아 있는 상태로 완전

                      히 어머니의 몸 밖으로 나온 때를 출생한 시점으로 본다.
                        사회는 출생을 통해 새로운 구성원이 충원됨으로써 유지,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출생은 기본적으로 생물학적 현상이지만 사회·문화적, 경제적, 심리

                      적, 환경적 요인과 영향을 주고받는 사회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예로부터
                      사람들은 인구 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았는데, 어떤 사회에서는 인구의 절대적
                      인 수를 경제적인 생산 능력 또는 국력을 가늠하는 기준으로 보기도 했다. 반

                      면 사회 유지에 필요한 식량, 자연 환경 등을 고려할 때 인구를 적절하게 조
                                               ●
                      절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 맬서스의 인구론)도 있었다.
                                                                                           ● 맬서스의 인구론
                        이처럼 사회적 의의를 갖는 출생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출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식량은 산
                                                                                           술급수적으로 증가하므로 인류의 빈곤은 필연
                      산력’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출산력은 한 여성이 몇 명의 자녀를 출산하
                                                                                           적이라는 맬서스의 주장이다.
                      였는지, 사회 전체적으로 몇 명의 아이가 태어났는지에 대해 수치로 나타낸
                                  ●
                      것이다. 주로  합계 출산율을 활용하여 출산력의 수준을 비교하며, 출산력은                            ● 합계 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TFR)
                                                                                           한 여성이 가임 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사회 변동과 맞물려 변화하는 특징이 있다.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1. 인구 구조의 변화 요인은 무엇인가?  |  115







          사회탐구심의본.indb   115                                                                                        2021-07-02   오전 9:07:58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